
RAG 파인튜닝 브레이크이븐 계산기 2025: 5분 만에 Q*·SLA·월비용 딱 끝
돈·속도·정확도, 그리고 Q* 한 줄로 잠가두기
질문은 폭증합니다. 우리가 지켜야 할 건 예산·SLA·정답률입니다. 오늘은 브레이크이븐 질의량(Q*)을 기준으로, 반복 FAQ는 파인튜닝+캐시, 롱테일·신규는 RAG, 경계 구간은 하이브리드로 잠가둡니다. 상용 모델은 보통 입력·출력 토큰을 분리 과금하고, 프롬프트 캐시나 배치 유무에 따라 단가가 달라지니 먼저 요율을 고정하세요. 오늘은 모델 교체가 아니라 라우팅·캐시에 집중합니다.
임베딩·검색은 별도입니다. 임베딩 생성 비용과 벡터DB의 읽기(Read)·쓰기(Write)·스토리지가 각각 과금됩니다. 문서 유입이 잦은 팀은 초기 색인과 증분 색인을 분리해 운영 주기를 고정해 두는 편이 안전합니다(폭주 구간을 따로 묶는 셈이죠).
지연은 곧 체감입니다. 파인튜닝은 추론이 빠른 대신 학습·유지비가 들고, RAG는 최신성·근거성을 얻는 대신 검색 지연(p95)이 끼어듭니다. 그래서 캐시가 잘 먹는 FAQ·양식질의는 FT가, 문서 변화가 빠른 롱테일은 RAG가 보통 유리합니다. 혼합이 필요하면 FT 1차 → RAG 폴백으로 라우팅하세요—SLA가 걸린 서비스라면 p95가 의사결정에 더 민감하게 작용합니다.
- 1) 단가 정규화: (모델 입력×요율)+(모델 출력×요율)+(임베딩·읽기/쓰기·스토리지)로 질의당 총비용을 만듭니다. 이렇게 해야 월 예산과 바로 연결됩니다.
- 2) Q* 계산: Q* ≈
FT(학습·배포·재학습) 고정비÷RAG 대비 질의당 절감액. Q* 이상이면 FT가, 미만이면 RAG가 유리합니다(지연·정확도 가중치를 곱해 민감도 확인). - 3) 라우팅 규칙: FAQ·반복= FT+프롬프트 캐시, 신규·근거필수= RAG, 경계구간= 하이브리드—‘모든 것을 FT로 묶는’ 식의 과잉 최적화는 하지 않습니다.
다음 행동: 오늘 로그에서 상위 20개 반복질의의 월간 빈도와 평균 토큰 길이를 뽑아 위 공식을 대입하세요. Q*가 보이면, 라우팅은 절반 끝난 겁니다. 가정이 맞는지 내일 p95·정답률만 재확인하면 됩니다.
저자 다로미 — B2B SaaS·금융·제조 지원운영을 위한 LLM 구축/비용최적화 컨설턴트(2017–).
기술 리뷰 ML·플랫폼 엔지니어 1인 검토 완료.
최종 업데이트: 2025-10-13
목차
왜 이 계산이 이렇게 빡세게 느껴질까
RAG(검색증강생성, Retrieval-Augmented Generation)는 임베딩, 벡터 DB 조회, 리랭커, LLM 토큰까지 질의가 들어올 때마다 미터기가 도는 택시처럼 변동비가 붙습니다. FT(파인튜닝, fine-tuning)는 학습비를 월 상각으로 나눠 보지만, 운영 단계에서는 결국 생성 토큰과 인프라 비용이 뒤따릅니다.
여기에 p95 지연 제한이 겹치면 top-k, chunk 길이, 리랭커 폭, 생성 토큰 길이, tokens/sec가 한 줄 환승처럼 맞물려 단가와 SLA가 날마다 흔들립니다—그렇다면 우리는 무엇을 놓치고 있었을까요? 즉흥 추정이 아니라, 표본을 정하고 수치로 말해야 합니다.
첫 론칭 때 “Q/일 5,000이면 무난”하던 봇이 한 달 뒤 20,000으로 뛰었습니다. 캐시 적중률이 0%에 가까운 날이 이어지며 월 예산이 4배로 불었고, 그 이후 대시보드 첫 줄은 브레이크이븐 질의량 Q*가 차지했습니다.
- Q*를 먼저 구합니다: 대표 트래픽 샘플에서 질의 1건당 (임베딩+검색+리랭크+생성) 비용을 실측하고, 월 상각분(FT)이 있다면 질의 단가로 환산해 교차점(Q*)을 표시합니다.
- 지연·비용 가드레일을 켭니다: p95가 가까워지면 k↓, chunk↓, max_new_tokens↓ 순으로 자동 완화하고, 캐시 TTL·커버리지 시나리오(0·20·40·60%)별 비용을 미리 계산해 예산 경보를 겁니다.
다음 행동: 지난 7일 로그에서 하루를 뽑아 k·chunk·토큰 분포와 캐시 히트율을 측정하고, 그 값으로 Q*를 계산해 대시보드 첫 줄에 고정하세요. 오늘의 작은 정리가 내일의 숨을 고르게 합니다.
- RAG 변동비는 구성요소가 많아 흔들림이 크다
- FT는 Q가 클수록 유리해진다
- Q*를 넘는 순간 경로를 바꿔라
Apply in 60 seconds: 어제 Q/일·H(%)·p95를 적어두고 아래 계산기에 입력.
인터랙티브 계산기 · Q*와 월 총비 즉시 보기
숫자 앞에서 잠깐 멈칫할 때, 이 계산기는 슬라이더 한 번으로 답을 보여 주도록 만들었습니다. 슬라이더를 움직이면 월 총비용, p95 지연(95퍼센타일), Q* (브레이크이븐 질의량), 권장 경로가 동시에 갱신됩니다—주방 저울 눈금이 맞춰지듯 한눈에 정돈됩니다.
JS가 꺼져 있거나 네트워크가 느릴 때도 서버가 미리 렌더링한 텍스트 상태(SSR)를 먼저 띄워 기본 결과를 바로 읽을 수 있습니다. 표시되는 수치는 교육용 참고값이라 요율·인프라·모델 버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니 자신의 조건으로 값을 바꿔 보세요; 지금 ‘RAG-기본’ 또는 ‘FT+캐시’ 프리셋을 고르고 월 질의량 슬라이더를 10,000으로 맞춘 뒤 표와 권장 경로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확인해 보시면, 놓치던 부분이 숫자로 드러납니다—여기까지 오셨다면 반은 해내신 겁니다.
RAG 월 총비(추정): $12,300
FT 월 총비(추정): $14,900
브레이크이븐 Q* (월): 92,000
권장 경로: 하이브리드
고급(토큰·리트리버)
파인튜닝(학습 상각)
모든 금액: USD 기준 월 환산(일일 Q는 ×30)
프리셋 범위표(단가·속도) & 한국어 임베딩·리랭커 미니 가이드
프리셋은 보수적 범위로 잡았습니다. 실계약/벤치마크로 교정하세요.
| 항목 | 낮음 | 보통 | 높음 |
|---|---|---|---|
| 입력 $/1k tok | $0.03–0.06 | $0.10–0.20 | $0.40–0.60 |
| 출력 $/1k tok | $0.06–0.12 | $0.15–0.30 | $1.00–1.80 |
| 임베딩 $/1k tok | $0.005–0.01 | $0.015–0.025 | $0.05–0.08 |
| 리랭커 $/1k tok | $0.015–0.03 | $0.04–0.06 | $0.08–0.12 |
| VDB 읽기(1 hit) | $0.00005–0.0001 | $0.0002–0.0003 | $0.0004–0.0008 |
| 토큰 속도(tokens/sec) | 120–250 | 300–600 | 800–1200 |
한국어 임베딩·리랭커 선택 가이드(미니표)
| 범주 | 강점 | 약점 | 추천 용도 |
|---|---|---|---|
| ko 전용 임베딩 | 복합명사·조사 처리, OOV 낮음 | 영문 혼합시 품질 저하 가능 | 국내 규정/약관/내부 지식베이스 |
| 다국어 임베딩 | 언어 혼합·영문 인용에 강함 | 형태소 경계 민감 | 글로컬 KB, 외부 문헌 혼합 |
| 도메인 LoRA 리랭커 | 용어 일치·문장 양식 맞춤 | 학습·배포 관리 필요 | 금융/의료 인용 고정, 감사 준비 |
- Tip: 용어사전(스팬 확장)으로 “1차 해결/1차해결/초회해결” 등 변형을 통일.
- Tip: ko 환경 기본 chunk 280–350 tok, k=2–4에서 시작.
실전 매트릭스 2종 · 리랭커/k/chunk & 캐시 H 구간
① 리랭커 on/off · k=2/4 · chunk 280/350 — 월비용 & p95(ms)
| k | chunk | 리랭커 | RAG 월 | RAG p95 | FT 월 | FT p95 |
|---|---|---|---|---|---|---|
| 슬라이더를 움직이면 여기가 즉시 갱신됩니다. | ||||||
② 캐시 히트율 H 20/40/60% — 월 총비 & 절감율
| H | RAG 월 | 절감율 | FT 월 | 절감율 |
|---|---|---|---|---|
| 슬라이더를 움직이면 여기가 즉시 갱신됩니다. | ||||
지연 모델과 SLA: 200–400ms를 맞추는 법
핵심은 분해입니다. p95 200–400ms를 만들려면 어디서 몇 ms가 새는지 먼저 드러내야 합니다. 검색증강생성(RAG, Retrieval-Augmented Generation)과 파인튜닝(FT, fine-tuning)은 병목이 다릅니다.
L_total = L_retrieve(k) + L_rerank + L_generate (≈ tokens / tokens_per_second)
실전에서는 k=4→2, 청크 350→280, 리랭커 off로 같은 질문에서 약 230ms를 줄인 적이 있습니다(2025-08). 스트리밍은 첫 토큰을 앞당겨 체감 응답을 크게 개선합니다.
- 1) 기준선 측정
서버 타임스탬프를retrieve_start/end·rerank_start/end·generate_start/first_token/last_token로 찍어 구간별 p50/p95를 분리해 보세요. 적어도 200건 이상 같은 프롬프트 패밀리로 측정해야 편차를 읽을 수 있습니다. - 2) 검색 단계 다이어트
Top-k를 4→2로 낮추고, 청크 길이를 350→280 토큰으로 줄입니다. 중복 청크 제거(제목·문서ID 기반)와 확정적 정렬(예: 최신순→점수순)까지 묶으면 I/O 왕복과 파싱이 함께 줄어듭니다. 단, 리콜 저하가 우려되면 FAQ·정형 질의에만 k=2를 적용하는 규칙 기반 세그먼트를 쓰세요. - 3) 리랭커 절제
리랭커를 끈 상태로hit@1·정답률을 A/B 비교합니다. 끄기 어렵다면 후보군을 32→8로 줄이거나 문서 길이 상한을 둬 재순위 시간을 짧게 만드세요. 품질 하락 허용 한도(예: 정확도 -2%p)를 미리 정해두면 판단이 빨라집니다. - 4) 생성 단계 빠르게 만들기
프롬프트를 슬림화(시스템/샷 축소)하고 최대 토큰을 실제 평균에 맞춰 낮춥니다. 스트리밍을 켜서first_token_latency를 120ms 안쪽으로 당기고, 서버-클라이언트 간 전송 버퍼를 작게 해 첫 바이트를 즉시 플러시하세요. FT 경로라면 L_generate′가 핵심이므로 디코딩 파라미터와 토큰/초 성능을 우선 점검합니다.
“속도가 품질을 깎지 않나?”라는 걱정에는, 속도 실험마다 answer_score·hit@k를 함께 기록해 시간-정확도 프런티어를 업데이트하면 답이 명확해집니다.
지금 할 일: 스테이징에서 k=2·청크 280·리랭커 off로 200건을 돌리고, p95_total·first_token_latency·정확도 변화를 로그로 확인해 보세요. p95가 400ms를 넘으면 리랭커를 on(후보군 8)으로만 되살려 재측정합니다.
- 요약형/포맷 고정으로 출력 길이 상한
- 스트리밍으로 체감 속도 개선
- FAQ는 FT/캐시로 단일 추론
Apply in 60 seconds: 생성 상한 200→150으로 줄이고 p95 변화를 확인.

품질·리스크·의사결정 규칙: 언제 무엇이 유리한가
원칙 한 줄: 변화가 잦고 최신성이 승부처면 RAG(검색증강생성), 패턴이 반복되고 Q가 크며 SLA 300ms 이하면 FT(파인튜닝·지식증류). 실제 운영은 라우팅으로 두 길을 나눠 타는 하이브리드가 기본값입니다. 지하철 환승처럼, 노선이 다르면 타는 열차가 달라집니다.
RAG는 외부/사내 문서의 “지금”을 가져와 답하게 하고, FT는 자주 묻는 말을 빠르고 일관되게 꿰어 줍니다. 그래서 FAQ·반복 질의는 FT+캐시로 지연을 낮추고, 롱테일·신규·개정 이슈는 RAG로 최신 조항과 출처를 고정합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무엇을 놓치고 있었을까요? 경계가 애매한 순간, 라우팅이 판단을 또렷하게 해 줍니다.
혼자 서도 기억나는 한 문장: “변경은 RAG, 반복은 FT, 애매하면 라우팅으로 갈라 타라.” 한 번 더 떠올려 보세요.
Short Story — 주말에 약관이 바뀌었는데 봇이 옛 문구를 내보냈습니다. 월요일 09:10, “약관/가격/개정” 키워드 티켓이 폭주했죠. 알림음이 연달아 울렸습니다. 우리는 해당 토픽을 RAG 강제 라우팅으로 묶고, 답변에 최신 조항과 출처 ID를 박았습니다. 화요일 같은 질문이 들어왔고, 이번엔 정확한 문구가 1초 안쪽으로 나갔습니다. 팀은 그제서야 따뜻한 점심을 먹었습니다.
- 1) 앞단 라우팅 규칙: “약관·요금·버전·개정·공지” 등 신선도 트리거는 RAG로 강제 전송, 그 외는 기본 FT 경로. 키워드·정규식·토픽 ID로 겹침 최소화.
- 2) FT+캐시로 반복 흡수: 상위 100개 FAQ는 FT로 압축하고, 1·24시간 캐시 TTL을 분리해 피크 시간 SLA를 잠급니다. 딱 필요한 만큼만 남깁니다.
- 3) RAG 품질 잠금: 스니펫 인용 고정, 문서 최신판 필터, 메타데이터(버전·시행일) 노출. 출처가 비었으면 답을 보류하거나 완곡히 재질문.
- 4) 지표로 재학습 루프: 토픽별 p95 지연·정답률·티켓 전이율을 주 단위로 보고, 라우팅 임계값과 FT 말뭉치를 갱신합니다.
오해 방지 한 줄: 반복 질의처럼 보여도 내용이 자주 바뀌는 영역(요금제, 환불 규정)은 FT보다 RAG 우선이 안전합니다.
다음 행동: 지금 티켓 상위 20개를 분류해 ‘신선도 트리거 5개’만 골라 RAG 강제 라우팅 규칙으로 추가하세요. 여기까지 읽으셨다면 이미 반은 해내셨습니다.
케이스 3종(숫자 고정): 중소·중형·엔터프라이즈
| 케이스 | 월 총비(RAG) | 월 총비(FT) | p95(RAG) | p95(FT) | Q* (월) |
|---|---|---|---|---|---|
| 중소 SaaS(문서 1만, Q/일 2천) | $4,800 | $5,900 | 520ms | 380ms | 61,000 |
| 중형 제조(문서 12만, U 8%, Q/일 1만) | $27,300 | $21,300 | 360ms | 290ms | 85,000 |
| 엔터 金融(문서 80만, U 12%, Q/일 5만) | $164,000 | $132,000 | 270ms | 220ms | 72,000 |
※ 수치는 본 계산 로직의 보수적 예시입니다. 실제는 계약/인프라에 따라 상이.
운영 대시보드: Q*, p95, H를 매일 본다 + H 전/후 그래프
하루를 열면 이 셋만 보시면 됩니다. 출근길 전광판처럼 한눈에 상태를 알려주는, 바로 결정에 닿는 숫자들입니다.
- Q* (월): 오늘의 Q가 브레이크이븐 질의량을 넘었나요? 임계치에 다가서면 FT+캐시 비중을 조용히 높여 손익을 단단히 잠그세요.
- p95 (ms): 어제 95번째 백분위수 지연이 SLA를 깼나요? 그랬다면 top-k, 프롬프트 길이, 리랭커 순으로 원인을 좁혀 한 번에 하나씩만 조정합니다.
- H (%): 캐시 히트율이 오늘도 우리 편인가요? 낮다면 프롬프트 정규화·쿼리 디듀핑·TTL 재설정부터 차근차근 점검합니다.
H 전/후 그래프: 비용이 줄어드는 모습
캐시는 RAG의 변동비를 곧바로 깎습니다. 모델·요율이 같다는 가정에서 H 35%→55%는 적중률이 20%p 오른다는 뜻이고, 그만큼 조회·생성 토큰이 덜 쓰입니다.
절감 폭은 캐시 적용 범위(FAQ 비중, TTL)와 트래픽 분포에 따라 달라집니다. 그래서 전/후 바 차트를 붙여 월비용의 하향 폭을 눈으로 확인하게 하세요.
다음 행동: 오늘 H 추이를 먼저 확인하고, 상위 미적중 10개 질의를 모아 프롬프트 템플릿을 정규화해 캐시 키 충돌을 줄이세요. 여기까지 정리하셨다면 절반은 끝났습니다.
RAG vs 파인튜닝: 한눈에 보는 핵심 DNA
기업의 데이터 환경과 목표에 따라 최적의 경로는 달라집니다. 두 방식의 장단점을 시각적으로 비교하고 우리 팀의 나침반을 찾으세요.
RAG (검색증강생성)
외부 지식창고를 실시간으로 참조
-
비용 구조초기 비용 낮음, 쿼리당 변동비 발생 (Pay-as-you-go)
-
업데이트 속도매우 빠름, 문서 추가/삭제 시 즉시 반영 (실시간성)
-
정확도 & 근거출처 제시 가능하여 신뢰도 높음, 할루시네이션 억제
-
개발 기간짧음 (4-8주), 빠른 프로토타이핑 및 배포 가능
최적 활용 사례
파인튜닝 (미세조정)
모델 자체를 특정 지식/스타일로 특화
-
비용 구조높은 초기 학습/인프라 비용, 쿼리당 추론 비용은 낮음
-
업데이트 속도느림, 새로운 지식 반영 위해 재학습 필요 (주기적)
-
일관성 & 스타일특정 도메인의 말투, 스타일, 패턴 내재화에 매우 강함
-
개발 기간김 (3-6개월), 데이터 정제 및 학습/평가에 시간 소요
최적 활용 사례
2025년 엔터프라이즈 AI 지표: 숫자로 보는 현실
최신 보고서와 시장 데이터를 기반으로 RAG와 파인튜닝을 둘러싼 실제 비용, 도입률, 성능 트렌드를 시각적으로 확인하세요.
초기 구축 비용 (평균)
프로토타입부터 실제 운영 가능한 시스템까지의 평균적인 초기 투자 비용 비교입니다.
파인튜닝 도입률
2024년 PwC 보고서에 따르면, 오픈소스 LLM 기반의 파인튜닝 도입이 가파르게 증가했습니다.
지난 2년간 도입 증가율
프론티어 모델 훈련 비용
최상위 LLM의 훈련에 필요한 컴퓨팅 비용은 천문학적인 수준에 도달했습니다. (Stanford HAI 2024)
Google Gemini Ultra (추정)
우리 팀에 맞는 AI 전략 찾기
두 가지 핵심 질문에 답하고, 우리 팀의 상황에 더 적합한 접근 방식에 대한 빠른 가이드를 받아보세요.
결과를 확인하세요
위 슬라이더를 움직여 팀의 특성을 반영하면, 아래에 맞춤형 추천이 나타납니다.
FAQ
Q1. Q*가 음수(또는 ∞)로 나오면?
Q*가 음수면 지금 당장은 FT(파인튜닝)+캐시가 더 싸고 안정적입니다. 반복 FAQ를 FT로 묶고, RAG는 신규·롱테일에만 태우세요. Q*가 ∞라면 RAG의 질의당 변동비가 더 낮아 브레이크이븐이 멀다는 뜻이니 하이브리드를 유지하며 월별 Q와 캐시 히트율을 보면서 전환 시점을 늦추는 편이 유리합니다.
Q2. 리랭커는 꼭 필요합니까?
필수는 아닙니다. k가 2~4로 충분하고, 청크 길이와 문서 품질을 다듬었다면 off에서도 재현성 있는 성능이 납니다. 다만 금융·의료처럼 근거 제시와 회수율이 핵심이면 on을 기본으로 두고, 소규모 블라인드 평가(예: 200샘플)로 비용 대비 이득을 확인하세요.
Q3. 한국어 성능이 불안정합니다.
ko 전용 임베딩·리랭커로 바꾸고, 용어사전(예: ‘건보료=건강보험료’, ‘연말정산=year-end tax settlement’)과 표준 표기(버전·효력일·숫자 단위)를 고정하세요. TTL·중복 제거·시소러스 정리는 검색 단계의 잡음을 크게 줄입니다. 규범화(띄어쓰기·외래어)와 표제어 통일만으로도 히트율이 눈에 띄게 오릅니다.
Q4. SLA 200–300ms는 어떻게 맞추죠?
생성 토큰 상한을 낮추고, k=2·청크 280~320자로 시작해 리랭커는 off로 둡니다. 스트리밍으로 첫 토큰을 빠르게 보내 체감 속도를 확보하고, 반복 질문은 FT/캐시로 라우팅하세요. 프롬프트·출력 템플릿을 짧게 정규화하고, 길어질 때는 요약 모드로 자동 폴백하는 규칙을 두면 안정적입니다.
Q5. FT 학습비 예산화?
학습·검증·배포 비용을 6~12개월로 상각해 월 고정비로 잡으세요. Q가 커질수록 FT 쪽 단가가 낮아지므로 Q*를 대시보드에 상시 노출해 전환 임계값을 관리합니다. 데이터 업데이트 주기(예: 분기별 미세 재학습)까지 함께 캘린더에 고정하면 비용 변동이 줄어듭니다.
결론 & 15분 실행 플랜 + CSV/리포트 CTA
이번 루프를 깔끔히 닫겠습니다. 약속드린 그대로 핵심은 한 줄입니다: 롱테일은 RAG(검색증강생성), 상위 20%는 FT(파인튜닝)+캐시로 고정합니다. 이제 15분이면 파일럿이 굴러갑니다—커피가 식기 전입니다. 여기까지 오셨다면 절반은 끝났습니다.
0–5분 · 숫자 고정
모델 교체나 대공사 없이, 어제 Q/일(질의량)·H(캐시 히트율)·p95(95퍼센타일 지연)를 계산기에 입력하세요. 리랭커on/off와k=2/4를 믹서의 페이더처럼 번갈아 토글해 현재 인프라에서의 속도–정확도 균형점을 대시보드에서 바로 확인합니다. 어제도 토글 두 번으로 균형점을 금방 찾았습니다.- 예: p95가 SLA를 넘기면 우선
k축소→리랭커off순서로 조정하세요. 따라서 지연이 먼저 안정됩니다. - H가 40% 미만이면 프롬프트 정규화·중복 질의 제거부터 점검하세요. 그러면 캐시가 제 역할을 하기 시작합니다.
- 예: p95가 SLA를 넘기면 우선
5–10분 · 상위 20% 라우팅
지난 7일 질문 로그를 빈도 순으로 정렬해 상위 20%를 선택합니다. 이 세트를 FT+캐시 라우팅 규칙으로 저장하고, RAG는 신규·개정·롤링 업데이트만 담당하도록 역할을 분리합니다. FAQ는 RAG로 돌리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무엇을 놓치고 있었을까요?—바로 반복 패턴의 고정입니다.- 규칙 예: “패턴 매칭(정규식/슬롯) → FT 엔드포인트 → 캐시 TTL 24h”.
- “상위 20%가 자주 바뀌면?” → 7일 이동평균으로 주 1회만 갱신하세요(계절성 높은 도메인은 더 안정적입니다).
10–15분 · CSV 태깅 & 캐시 후보 확정
CSV(200행)을 내려받아 자동 태깅 버튼으로 “캐시 유리/비유리” 라벨을 붙입니다. 태그가 “유사 질의 다수·답변 고정형”이면 캐시 후보로, “최신성 민감·출처 변동”이면 RAG 전용으로 표시합니다. 필요하면 내일 아침 라벨 기준을 한 번 더 다듬으면 됩니다. 조금만요. 딱 여기까지.- 권장 필드:
query,hits_7d,avg_latency_ms,needs_freshness,cache_candidate— 리포트 비교가 쉬워집니다. - 캐시 후보만 선택해 TTL·무효화 트리거(용어집 변경, 문서 개정일)도 함께 기록해 재현 가능성을 확보하세요.
- 권장 필드:
지금 CSV를 내려받아 자동 태깅을 한 번 돌려 보세요. 내일 아침 대시보드에서 H와 p95가 어떻게 달라졌는지 바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오늘의 작은 정리가 내일의 호흡을 가볍게 합니다.
Q, H, SLA 입력
질문량·캐시·지연 목표
Q* 계산
(FT상각−RAG고정)/(RAG−FT)
라우팅 정책 적용
FAQ→FT/캐시 · 롱테일→RAG
RAG 파인튜닝 브레이크이븐 계산기, RAG 비용 계산, 파인튜닝 상각, LLM SLA, 벡터DB 비용
🔗 NotebookLM 오디오 오버뷰 Posted 2025-10-03 07:39 UTC 🔗 인공지능 개념 지도 Posted 2025-09-28 07:11 UTC 🔗 AI 카페 랜딩페이지 Posted 2025-09-26 22:56 UTC 🔗 서해 갑오징어 포인트 Posted (날짜 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