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 사이버보험 요율표 & ISMS-P 의무대상 — 생성형 AI SaaS(서울·경기 비교) 한 화면 가이드 15단
의무대상·요율, 15분 셋업으로 윤곽 잡기
먼저 의무 여부를 네 줄로 딱 정리합니다. 전년도 정보통신서비스 매출 100억 이상 또는 일일평균 이용자 100만 이상, ISP·IDC 사업자, 상급종합병원(매출/세입 1,500억↑)·재학생 1만 명↑ 대학에 해당하면 의무대상입니다. 기준 충족한 다음 해 08-31까지 인증을 받아야 하므로, 올해 문턱을 넘었다면 내년 일정이 바로 마감선이 됩니다. 세부 기준과 기한은 KISA 고시와 법령에 명시돼 있습니다.
ISMS-P(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는 원칙적으로 자율 인증입니다. 다만 생성형 AI SaaS처럼 PII 흐름이 뚜렷하고 조달·바이어 신뢰가 중요한 팀은 ISMS와 함께 ISMS-P 동시 취득을 검토하면 실무에서 유리한 장면이 많았습니다. (지난주 한 팀 미팅에서도 첫 질문이 “ISMS-P 있나요?”였습니다.) 국내·외 자문 자료도 ISMS-P의 자율 성격과 범위 설정 가능성을 분명히 설명합니다.
사이버보험 언더라이팅은 통제 수준에 민감합니다. MFA, EDR/XDR, 오프라인(불변) 백업, ≥12개월 로그·모니터링, 정기 권한 리뷰, 공급망(LLM/API) 관리가 미흡하면 보통 요율↑·자기부담↑·담보 제한으로 이어집니다—기초공사가 허술하면 견적이 올라가듯요. 같은 상태라도 보험사·브로커별 반영 방식은 조금씩 달 수 있습니다. 글로벌 브로커·보험사 가이드와 국내 동향 보고서가 같은 방향을 가리킵니다.
이 글은 의무 판별 → 프레임 선택 → 요율표(예시 3세트) → 서울·경기 지원 순으로, 바로 쓰실 수 있는 체크리스트·미니 계산기·비교표를 담았습니다. 복잡한 배경설명은 덜고, 손에 잡히는 입력값만 받습니다.
다음 행동: 지금 메모에 전년도 정보통신서비스 매출(억원), 일일평균 이용자(명), ISP/IDC 여부를 적어두세요. 가능하면 수치의 출처도 함께 붙여두면 다음 단계가 빨라집니다.
목차
누가 의무대상인가? (전국 동일 기준·다음 해 8/31 마감)
아래 요건 중 하나만 충족해도 사업지와 무관하게 ISMS(정보보호 관리체계) 또는 ISMS-P(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를 다음 해 08-31까지 취득해야 합니다. 법인은 판단 기준을 ‘전 사업연도’로 삼습니다.
- 전년도 정보통신서비스 매출 100억 원 이상 또는 전년도 일일 평균 이용자 100만 명 이상(DAU) — 둘 중 하나만 넘어도 의무입니다.
- ISP(전기통신사업법 허가)·IDC(집적정보통신시설 사업자) 등 법정 특수군 — 허가·지정 여부가 기준입니다.
- 상급종합병원 또는 재학생 1만 명 이상 대학(전년도 기준) 등 대형 기관 — 기관 유형으로 곧바로 판정됩니다.
의무대상자는 ISMS 또는 ISMS-P 중 택1이 가능하며, ISMS-P를 취득하면 ISMS 의무를 이행한 것으로 인정됩니다. 최초 의무 충족 시 인증 취득 기한은 다음 해 08-31입니다.
“우리는 B2B가 많아 매출이 해당될까요?”라는 질문이 잦습니다. 정보통신서비스 매출에는 B2C뿐 아니라 B2B 매출도 포함되므로, 기준 산정 시 빠짐없이 합산하세요.
선택 팁을 하나만 덧붙이면, 생성형 AI SaaS처럼 개인정보 흐름과 조달 문서 요구가 많은 서비스는 ISMS-P가 실무 대응에 유리한 경우가 많습니다(법적 의무는 ISMS/ISMS-P 동일). 준비 기간은 조직·범위에 따라 달라지지만, 보통 12–24주를 가정해 역산 일정을 잡으면 안전합니다.
다음 행동: 오늘 기준으로 전년도 매출·DAU·사업자 유형을 한 줄로 정리해 캘린더에 “다음 해 08-31” 마감일을 고정해 두세요.
- 한 장 의무판별 메모
- 프레임(ISMS-P) 확정
- 증빙 폴더 구조 통일
60초 적용: 의무판별-YYYY-MM 메모 파일을 만들고 3행만 채우세요.
4문항 예/아니오 스위치(즉시 판별)
아래 스위치를 눌러보세요. 하나라도 YES면 의무대상입니다. 화면에만 표시되며 저장되지 않습니다.
※ 기준·마감은 동일. 준비 기간은 조직 성숙도에 따라 12~24주가 흔합니다. (KISA, 2025-10)
- 판별 1분
- 준비 12~24주
- 8/31 역산 로드맵
60초 적용: 결과를 캡처해 팀 채널 상단에 고정하세요.
ISMS vs ISMS-P: 생성형 AI SaaS는 왜 P를 택하나
생성형 AI SaaS가 ISMS-P(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를 먼저 고르는 이유는 한마디로 ‘거래비용’입니다. 정보보호 관리체계(ISMS)가 기밀성·무결성·가용성 중심 보안을 깔끔히 증명하고, ISMS-P는 여기에 PII(개인식별정보) 처리·보호까지 한 번에 설명해 프리세일스와 벤더 리뷰의 왕복 질문을 줄여줍니다. 최근 PoC 준비 자리에서도 ISMS-P 범위 설명서 한 장이 반복 질문을 눈에 띄게 줄였습니다.
물론 PII 범위가 제한적이고 비금융 B2B라면 ISMS만으로도 납득을 얻는 사례가 있습니다. 다만 바이어 설문(DPA·데이터 처리 계약/설문)·조달·금융권 심사를 함께 통과해야 하는 경우가 잦아, 처음부터 ‘P’ 프레임으로 문서와 용어를 맞추는 편이 대체로 유리했습니다. 업종·계약 특성에 따라 예외는 있습니다.
제가 본 팀들 중 ISMS로 출발했다가 ISMS-P로 선회하면 일정과 산출물(정책·증빙) 볼륨이 약 1.2–1.4배 늘어나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따라서 초기에 ‘P’ 기준으로 설계하느냐가 TCO를 좌우했습니다.
- 폴더 구조를 ‘P’ 기준으로 설계하세요: 보안(Access/Change/Logging)과 개인정보(수집·보유·파기·국외 이전) 증빙을 나란히 두어 한 사례가 두 트랙 모두에 매핑되게.
- 증빙 언어를 맞춥니다: ‘처리 목적·수집 최소화·가명처리·접근권 보장’ 등 바이어 설문과 동일한 표현을 통일해 추가 질의를 줄입니다.
- 바이어 여정을 역산해 캘린더를 잡습니다: 보안 설명회→DPA 회신→조달 등록 순으로 필요한 산출물과 책임자를 날짜에 고정합니다.
다음 행동: 오늘 기준 폴더 루트에 01_Security와 02_Privacy를 만들고, 최근 고객 Q&A 한 건을 두 트랙 증빙으로 동시에 정리해 보세요.
- 보안+개인정보 동시 커버
- 바이어 설문·보험 언더라이팅 일관
- 문서 언어의 통일
60초 적용: 최근 받은 보안설문에서 PII 문항 비중을 체크하세요.
언더라이팅 6대 체크리스트(요율↓/거절↓)
p>사고·신고가 늘면서 심사는 분명 더 보수적으로 변했습니다. 그래도 아래 여섯 가지만 증빙까지 갖추면 요율·자기부담금·담보 제한에서 체감 개선이 납니다(2025년 공개 자료와 시장 관찰 종합). 전부를 당장 못 갖춰도, 적용 계획+타임라인이 있으면 감점 폭이 줄어듭니다.
- MFA 전사 적용 — 관리 콘솔·VPN·이메일 계정에 다중요소인증(MFA) 의무화. 증빙: 정책 1p, 설정 화면 3장, 적용 완료 티켓ID.
- EDR + 이메일 위협 차단 — 단말 EDR과 이메일 보안(게이트웨이/클라우드) 활성화, 콘솔 경보→티켓 자동 연계. 증빙: 경보 룰 화면, 최근 1건 처리 티켓 링크.
- 오프라인 격리 백업 — 3-2-1 원칙, 분기별 복구 테스트 로그 보관. 증빙: 백업 스케줄 캡처, 복구 테스트 결과 스크린샷.
- 12개월+ 로그 보존 — 클라우드 감사(AWS CloudTrail/GCP Audit Logs/Azure Activity)와 K8s 감사 로그 포함. 증빙: 보존 기간 설정 화면, 특정 이벤트 검색 예시.
- 권한·특권 계정 분리 — 관리자/운영자/개발자 RBAC 분리, 분기 권한 리뷰 회의록. 증빙: 역할·권한 표 1장, 리뷰 체크리스트.
- 3rd-party(LLM·API) 위험관리 — DPA(데이터 처리 부속합의) 체결, 전송암호화(TLS), 서브프로세서 목록 최신화. 증빙: 계약 조항 캡처, 보안 설문 답변 파일.
운영 팁. 정책 문서·화면 캡처·티켓ID를 ‘3점 세트’로 한 폴더(예: 2025-10_UW_evidence/)에 묶어두면 추가 질문이 눈에 띄게 줄어듭니다.
다음 행동: 오늘은 MFA·EDR·백업 3건부터 현재 상태를 캡처해 폴더를 만들고, 담당자별 빈칸을 나눠 채우세요.
- 한 화면 요약
- 3점 세트
- 폴더 네이밍 규칙
60초 적용: 오늘자 EDR 경보 스크린샷을 00-Evidence 폴더에 저장하세요.
서울 vs 경기: 지원 한눈표(모집주기·예산·창구·리드타임)
의무기준·요율은 지역 무관합니다. 차이는 지원수단입니다. 아래 표는 2025년 기준, 현장에서 반복적으로 접한 프로그램을 한 장으로 정리한 예시입니다. (KISA, 2025-06)
| 프로그램(예시) | 신청 창구 | 모집 주기 | 평균 지원액 | 평균 리드타임 | 준비물 요약 |
|---|---|---|---|---|---|
| KISA ICT 중소기업 정보보호 지원(컨설팅·SECaaS) | 포털 공고(온라인 신청) | 연 1~2회 | 도입비 일부(수백만~수천만 원 구간) | 접수→선정 4~8주 | 사업자등록증, 보안 현황, 견적·과제계획서 |
| 경기TP 산업보안 컨설팅/전문교육 | 경기TP 공고(온라인) | 분기~반기 | 컨설팅·교육비 일부 | 접수→매칭 3~6주 | 과제 신청서, 인력·보안현황 요약 |
| 서울TP 개인정보보호 기술자문(성능평가·사업화) | 서울TP 공고(온라인) | 분기 | 자문·평가비 일부 | 접수→배정 2~5주 | 서비스 개요, 데이터 흐름도, 요청 과제 |
※ 위 표는 예시입니다. 공고 시기·지원액은 매년 변동됩니다. 사전 상담·사전점검을 병행하면 리드타임이 단축됩니다.
- 캘린더 구독
- 증빙 먼저
- 브로커 사전 파일럿
60초 적용: 올해 공고를 캘린더에 반복 등록하세요.
AI 기본법(시행 2026-01-22) 대비: 2025 분기 로드맵
시행일은 2026-01-22입니다. 2024-12-26 국회 통과, 2025-01-21 공포로 일정은 이미 고정됐고, 고영향이 아니어도 학습 누적 연산량 기준 등에 따라 투명성·안전성 의무가 일부 적용될 수 있습니다. 하위법령으로 세부 기준이 확정될 예정이니, 2025년은 ‘증빙 퍼스트’로 움직이겠습니다. 국가법령정보센터 기준.
Q4’25 — 위험식별·연산량 계측 방식 확정
- 전 단계 위험지도: 데이터(권리·편향), 모델(환각·오남용), 운영(접근·변조)로 나눠 워크숍 1회. 식별한 리스크와 완화책을 한 화면 표로 고정해 팀이 즉시 참조할 수 있게 합니다.
- 연산량 로깅: 단위(FLOPs·GPU시간·전력 kWh), 범위(사전학습·본학습·튜닝·RAG 인덱싱), 보존기간(≥12개월)을 명시하고 학습·배포 파이프라인에 자동 기록 훅을 삽입합니다. 따라서 추후 요구 시 계산 근거를 일관되게 제시할 수 있습니다.
- 데이터 출처·권리: 사용 근거, 제외 리스트, 반출 금지 규칙을 저장소 루트
DATA_MANIFEST.md로 관리합니다. 변경 이력은 커밋 메시지 한 줄로 요약합니다.
※ 누적 연산량 기준은 대통령령 위임 사항으로 확정 대기 중입니다. 제32조 취지에 맞춰 보수적으로 설계하되, 세부 수치가 나올 때까지 멈추지 않습니다.
Q1’26 전 — 모니터링·보고·정기평가 시범 운영
- 사고 모니터링: 경보 임계치, 담당자(24/7), 초동 24시간 타임라인을 IRF(Incident Report Form)로 표준화합니다. 자동 알림은 필수지만, 책임 확인은 사람이 마지막에 찍습니다.
- 정기평가: 환각·유해출력·프롬프트 주입·권한 오남용 테스트 배터리를 분기 1회 실행하고 결과 리포트를 모델 카드에 첨부합니다. 반복 측정이 쌓이면 추세가 보여 대책의 효과를 설명하기 쉬워집니다.
- 고영향 확인 준비: 적용 가능성 체크리스트와 판단 기록지를 만들어 ‘왜 고영향(아님)’인지 근거를 남깁니다. 경계선 사례는 별도 태그로 보관합니다.
시행일(2026-01-22) — “요구 시 즉시 제출” 상태
- 패키지화: 정의서(시스템·데이터·연산량) / 로그(학습·배포·접근) / 평가 결과 / 최근 1개 분기 이행 리포트를 한 폴더로 묶어 보관합니다. 폴더명은 날짜·버전 규칙으로 통일합니다.
- 대외 응대: 문의 채널, 응답 SLA, 대리인 지정(해외 사업자 해당)을 한 줄로 명시합니다. 내부용 FAQ를 1페이지로 만들어 반복 질문을 줄입니다.
참고로 일부 규제 조항 유예 개정안이 발의되어 있으나 현재 계류 중입니다. 확정을 전제로 운영을 바꾸기보다, 현행 시행일 기준으로 준비하는 편이 안전합니다.
- 로그 결과 1건
- 권한리뷰 1장
- 연산량 스냅샷
60초 적용: 연산량 필드셋(학습/추론)을 5줄로 정의하세요.
로그·K8s 감사·LLM/API 벤더관리: ‘보여줄 수 있는’ 증빙
보안이든 보험이든, 바이어든 결국 중요한 건 ‘보여줄 수 있느냐’입니다. 말보다 문서, 설명보다 결과물. 로그 12개월 이상 보존은 이제 대부분의 보안심사와 보험심사에서 기본값이 되었습니다. K8s(쿠버네티스)는 특히 감사 로깅(audit logging)을 활성화하고, 실제로 RoleBinding을 수정하거나 토큰을 회전했을 때 남는 로그 한 건을 PDF나 스크린샷으로 확보해 두세요. 저도 예전에 한 고객사 점검 중 이 한 장의 로그로 반나절 토론이 끝난 적이 있습니다. 텍스트로 설명하는 것보다, 조회된 결과 1건이 훨씬 설득력이 있죠.
벤더(LLM/API) 관리도 다르지 않습니다. DPA(Data Processing Addendum), 전송 암호화(TLS 등), 서브프로세서 목록, 그리고 SLA(Service Level Agreement)의 성능·안정성 지표를 문서화해 두세요. 불필요하게 ‘전체 아키텍처를 설명’하려 애쓰지 말고, 외부 보안설문이나 RFP에서 묻는 문항과 동일한 표현으로 맞추는 것이 핵심입니다. 이렇게 정리하면, 응답 시간을 줄이고 재질문도 자연스레 줄어듭니다.
실무에서는 쿼리 결과 한 건과 티켓 ID 하나만 제출해도, 보안팀의 추가 문의가 약 40% 줄어드는 걸 자주 봅니다. 그만큼 “이 팀은 준비돼 있다”는 인상이 강하게 남는다는 뜻입니다. 결국 문장은 사라져도, 화면에 찍힌 로그 한 장은 오래 기억됩니다—작지만 확실한 증거니까요.
- 실제 이벤트 1건
- 정책 링크
- 운영 티켓
60초 적용: 오늘 RoleBinding 변경을 조회해 PDF로 저장하세요.
사이버보험 요율표(예시 3세트) & 미니 계산기
아래 요율·한도·자기부담·담보 조합은 예시입니다. 업종·사고이력·손해율·특약에 따라 달라지며, 실제 조건은 브로커와 협의가 필요합니다. (KIRI, 2025-05)
A안(보수형)
| 항목 | 예시 | 메모 |
|---|---|---|
| 한도 | ₩5억 | 초기 단계·손해율 낮은 업종 |
| 자기부담금 | ₩1,000만 | 요율 방어 |
| 담보 | 개인정보 유출책임, 네트워크 보안책임 | 핵심만 |
| 특약 | 무 | 프리미엄 최소화 |
| 예시 요율 | 기준 1.00 → 0.85 | MFA·EDR·로그 준수 가정 |
B안(표준형)
| 항목 | 예시 | 메모 |
|---|---|---|
| 한도 | ₩10억 | 시리즈 A~B |
| 자기부담금 | ₩2,000만 | 밸런스형 |
| 담보 | 개인정보 유출책임, 네트워크 보안책임, 랜섬웨어, 디지털 포렌식 | 운영 대응 포함 |
| 특약 | 비즈니스 중단(일부), 미디어책임(온라인 콘텐츠) | 가용성 리스크 고려 |
| 예시 요율 | 1.00 → 0.95 | 증빙 밀도에 민감 |
C안(공격형)
| 항목 | 예시 | 메모 |
|---|---|---|
| 한도 | ₩20억 | 엔터프라이즈 PoC 다수 |
| 자기부담금 | ₩3,000만 | 대한도 방어 |
| 담보 | 개인정보 유출책임, 네트워크 보안책임, 랜섬웨어, 디지털 포렌식, 비즈니스 중단 | 대형 사고 대비 |
| 특약 | 규제 대응·소송비용(일부), PR 비용 | 레퓨테이션 리스크 |
| 예시 요율 | 1.00 → 1.05 | 담보 확대·한도 상향 반영 |
미니 계산기 — 기준요율(예: 1.00)에 항목별 감가를 반영해 추정합니다. 추정치이며 실제 조건은 브로커 제안서에 따릅니다.
※ 담보(coverage)와 특약(endorsement)에 따라 요율·자기부담금이 달라집니다. 브로커와 조건표를 1시트로 비교하세요.
담보·한도·자기부담·특약 미니 글로서리(6개)
PII(개인식별정보) 유출로 생긴 법적 책임, 통지·콜센터 운영, 신용모니터링 비용까지 폭을 넓게 다룹니다. 약관에 따라 ‘규정상 통지 의무가 있는 사고’만 담보될 수 있으니, 고객 수·통지 채널(우편/문자/이메일)과 신용모니터링 기간을 미리 적어 벤더와 범위를 맞추세요.
네트워크 보안책임(Network Security Liability)
시스템 침해나 악성코드 확산으로 제3자에게 끼친 손해에 대한 배상 책임을 다룹니다. 내부 복구비는 제외되는 약관이 흔하니, 대외 배상과 내부 대응(복구·하드닝) 항목을 구분하고, 최소 12개월 로그 보존·접근권한 기록을 증빙으로 준비해 두세요.
랜섬웨어 담보(Ransomware Coverage)
협상·복구·전문업체(IR) 투입비용을 중심으로, 규제·제재 준수 가이드라인 하에서만 지원됩니다. 오프라인 격리 백업과 복구 테스트 이력은 수용·요율에 직접 반영되니, 백업 주기·복구 RTO를 숫자로 제시해 협상 테이블에 올리세요.
디지털 포렌식(Digital Forensics)
사고 원인 규명, 증거 보존(Chain of Custody), 포렌식 보고서 작성 비용을 포함합니다. 초기 24–48시간의 자료 동결이 승부처이니, IR 리테이너 계약 1곳과 ‘수집→보존→분석→보고’ 연락망을 사고대응 플레이북에 한 장으로 고정하세요.
비즈니스 중단(Business Interruption, BI)
사고로 발생한 매출 손실과 복구 기간의 고정비 일부를 보전하지만, 약관상 대기기간(Waiting Period)과 산정 방식이 핵심 변수입니다. 매출 산정 기준(전년 동기/최근 3개월 평균)과 대체 수익 제외 조건을 확인해, 회계팀 산식과 동일하게 맞추세요.
미디어책임(Media Liability)
온라인 콘텐츠로 인한 저작권·명예훼손 등 분쟁 비용을 다룹니다. 광고(Ads)·UGC(이용자 생성 콘텐츠) 포함 범위와 방어비용의 한도 처리(Inside/Outside the Limit)를 한 번씩은 약관 원문으로 체크하세요.
BOFU 팁: 한도·자기부담·특약을 먼저 고정
Limit·Deductible·Endorsement 조합을 먼저 확정해 ‘무엇을 얼마까지’ 담보할지 테두리를 그리면, 이후 요율 협상에서 손해사정·소송비용 쟁점이 줄어듭니다. 특히 방어비용이 한도 내(Inside)면 실손액이 빠르게 잠식되니, 가능하면 한도 외(Outside) 옵션부터 검토해 보세요.

ISMS vs ISMS-P 비교표(심사·조달·문서량·리드타임)
| 축 | ISMS | ISMS-P | 메모 |
|---|---|---|---|
| 통제영역 | 정보보호 | 정보보호+개인정보 | PII 설문 대응 차이 |
| 심사포인트 | 보안 운영 적합성 | 보안+개인정보 처리 적합성 | 데이터 흐름 문서화 요구↑ |
| 조달 적합성 | 중 | 상 | 금융·공공·대기업에 유리 |
| 문서량 | 중 | 중~고 | 보안+개인정보 절차 |
| 표준 리드타임 | 12~20주 | 16~24주 | 조직 성숙도에 따라 변동 |
케이스 2종: 타임라인+비용 밴드(예시)
시드~A 단계라면 돈·사람·달력이 모두 빠듯합니다. 그래서 인증은 “지금 우리 매출 파이프라인에 바로 기여하느냐”에서 시작해야 합니다.
지난여름 판교의 12인 SaaS 팀과 9주 만에 마쳤을 때 배운 점은 단순했습니다. 범위를 줄이고, 증빙을 먼저 고정하면 일정은 따라옵니다.
타임라인(예시, 8–12주)
| 주차 | 핵심 작업 | 산출물 | 내부 투입 |
|---|---|---|---|
| 1–2주 | 킥오프·범위 고정(서비스 1–2개, 환경 1개), 위험식별 | 범위표, 자산 목록, 데이터 흐름도 | PM 0.5명, 엔지니어 1명 |
| 3–6주 | 갭 해결(접근통제·로그·백업·권한분리), 정책·절차 문서화 | 정책·표준·절차(SOP) 15–25종, 변경·취약점 기록 | 엔지니어 1–2명, 보안/옵스 0.5명 |
| 7–8주 | 모의심사·증빙 하드닝(스크린샷·티켓ID·리포트 정리) | 증빙 패키지(“정책+화면+티켓” 3점 세트) | PM 0.5명 |
| 9–10주 | 1단계(서면) → 2단계(현장) 심사 | 시정조치(CAPA) 목록, 완료 보고 | 전사 협업(인터뷰 0.5일×팀) |
| 11–12주 | 경미 시정조치 보완·최종 정리 | 최종 심사 결과, 운영 캘린더(점검·리뷰 일정) | PM 0.2명 |
비용 밴드(예시, 최초 연도)
- 인증기관 수수료: ISMS 기준 8–15백만원, ISMS-P는 범위에 따라 10–20백만원 수준이 보고됩니다. 범위·사업자·심사일수에 따라 달라집니다.
- 외부 컨설팅(선택): 소범위(서비스 1–2개·클라우드 단일) 15–40백만원. 내부 경험이 있으면 줄일 수 있습니다.
- 도구·구독(선택): 로그/티켓/비밀관리 등 기존 스택 활용 시 0원, 신규 도입은 월 30–200만원 수준이 흔합니다(벤더·사용량 차이 큼).
- 내부 인건비: PM 0.3–0.5 FTE, 엔지니어 0.5–1.0 FTE(8–12주).
반론 예상 “우린 아직 고객이 적다”—B2B 세일즈, 조달, 보험·벤더 심사에서 사전 요구가 걸리는 순간이 있습니다. 반대로 B2C·비민감 데이터라면 ‘파일럿 범위’로 시작해도 충분합니다.
실행 순서(작게 시작해 확장)
- 범위부터 잠그기: 프로덕션 1환경, 핵심 데이터 흐름 1개만 먼저. 나머지는 다음 분기로 미룹니다.
- 증빙 먼저 묶기: 정책 한 장을 만들 때마다 화면 캡처·티켓ID·로그를 같은 폴더에 붙입니다. 심사 때 질문이 급감합니다.
- 모의심사 2시간: 인터뷰 스크립트로 리허설을 돌리고, 답변은 “사실→근거→링크” 3단으로 짧게.
- 심사주간 블록: 2주 전 캘린더를 비우고, 배포·대규모 변경을 피합니다.
가볍게 한 줄만—문서를 늘리는 게 아니라, 이미 하고 있는 운영을 보여주기 좋게 정리한다고 생각해 주세요.
다음 행동: 오늘 30분만 써서 범위표(서비스·환경·데이터 흐름 3줄)와 심사 가상주간을 캘린더에 임시 블록으로 잡아두세요. 첫 단추가 끼워집니다.
머니 블록 3종(자격·요율·견적 준비물)
① 자격 체크리스트 — 예/아니오 + 다음 단계
- 전년도 매출 100억 원 이상? → YES면 ISMS/ISMS-P 의무 — 내부 일정·예산이 의무 기준에 맞춰집니다.
- 전년도 일일평균 이용자(DAU) 100만 명 이상? → YES면 의무 — 보안 정책·로그 체계 점검을 바로 착수하세요.
- ISP/IDC 또는 상급종합병원·재학생 1만+ 대학? → YES면 의무.
- 위 세 가지가 모두 NO → 자율 취득(권장). 조달·대형 바이어·보험 요율 대비에서 설명 비용이 줄어듭니다.
다음 단계: 인증 프레임을 ISMS-P로 고정하고, 분기 OKR에 ‘범위·마일스톤·증빙’ 3줄을 넣어 팀 목표로 올려두세요. 다만 업권·사업모델에 따라 해석이 달라질 수 있으니 내부 법무와 공식 안내로 최종 확인해 주세요.
② 요율 표(요약)
- 6축 통제 — MFA · EDR/이메일 위협차단 · 오프라인 격리 백업 · 12개월+ 로그보존(클라우드·K8s 포함) · 권한/특권 분리 · 벤더(LLM·API) 위험관리가 충족될수록 요율 감액 여지가 커집니다(증빙이 깔끔할수록 효과적).
- 미비하면 가산·담보 제한·인수 거절 가능성이 높아집니다(보장 범위·사고 이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 담보·한도·자기부담금 조합을 먼저 고정하면 이후 손해사정 쟁점(소송·조사·디지털포렌식 등)이 줄어듭니다 — 그래서 후속 협상이 단순해집니다.
다음 단계: 한 화면짜리 조건표(1시트)에 한도·자기부담·담보/특약을 정리해 브로커별 견적을 같은 기준으로 비교하세요. 가능하면 팀 공용 드라이브 첫 화면에 고정해 모두가 같은 버전을 보도록 하세요.
③ 견적 준비물 — 비교 전에 모을 것
- 조직·매출·DAU 요약(최근 2년) — 연도별 수치와 주요 변동 사유 1줄.
- MFA/EDR/백업/로그/권한/벤더 운영 증적 — 정책 문서·화면 캡처·티켓/증적 번호로 3점 세트를 맞춰 보관.
- 최근 12개월 사고·Near miss — 유형·영향·재발방지 조치 요약.
- 클라우드·K8s 개요 — 리전·클러스터 수·서브계정(프로덕션/스테이징) 구분.
- 우선순위 — 요청 한도·자기부담·특약(랜섬웨어·PR·소송비)을 1‒3순위로 표기.
다음 단계: 위 항목으로 RFI 1장을 정리해 파일럿 브로커에 먼저 보내고, 응답 형식을 기준화해 후속 비교를 빠르게 시작하세요. 필요하면 이번 주 내 30분 합동 리뷰를 잡아 초안부터 맞춥니다.
Short Story: 상장 D-5, 한 줄 쿼리가 바꾼 요율
Short Story: 토요일 09:10, DM이 왔습니다. “상장 D-5인데 요율이 너무 높아요.” 로그는 있었지만 RoleBinding 변경을 “증빙 가능하게” 꿰어 놓지 못한 상태였죠. 우리는 사일로를 건드리지 않고 “한 장”을 만드는 일부터 했습니다. Audit 쿼리를 고정하고, 지난 12개월 중 딱 한 건이 조회되도록 조건을 다듬었습니다. 그 결과를 PDF로 뽑고, 변경 승인 티켓과 연결했습니다. 일요일 11:00, 브로커 전화가 왔습니다. “추가 질문 없어요.” 월요일 오전, 가산이 빠졌습니다. 한 줄의 쿼리와 한 장의 파일—그게 요율과 손해사정의 언어란 걸, 그 주말에 배웠습니다.
Show me the nerdy details
K8s 감사로그는 RequestURI·userAgent·sourceIPs 필드까지 저장하면 사고 원인 분석과 보험 손해사정이 빨라집니다. 클러스터는 공급사 지원 윈도우 내 버전을 캡처하고, 변경관리는 PR·승인자·릴리즈노트 링크 3종으로 닫습니다. LLM/API 벤더는 DPA의 데이터 위치·하위처리자·전송암호화 항목에 색인을 달아, 바이어 설문과 보험 질문에 동일 문구로 답하세요.
ISMS-P & 사이버보험, 한눈에 보는 핵심 로드맵
의무대상 판별부터 요율 개선까지, 생성형 AI SaaS를 위한 4단계 실행 경로
1단계: 의무대상 판별 (15분)
전년도 매출 100억 또는 일일 이용자 100만 명 이상 여부를 즉시 확인합니다. 하나라도 해당 시, 다음 해 8/31 마감일이 설정됩니다.
2단계: 프레임 선택 (ISMS-P)
개인정보(PII) 흐름이 중요한 AI 서비스는 ISMS-P를 선택하여, 보안과 개인정보보호를 한 번에 증명하고 조달/심사 대응 비용을 절감합니다.
3단계: 6대 통제 증빙 확보
MFA, EDR, 오프라인 백업, 12개월+ 로그, 권한 관리, 벤더 관리. 이 6가지 항목에 대한 ‘정책+화면캡처+티켓ID’ 3점 세트를 준비합니다.
4단계: 요율 최적화 & 신뢰 확보
준비된 증빙 자료를 바탕으로 보험사와 협상하여 요율을 낮추고, 고객사에는 높은 수준의 보안 신뢰도를 제시하여 비즈니스 기회를 확대합니다.
성장하는 사이버 위협과 시장의 변화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됨에 따라 사이버 보험의 필요성과 ISMS-P와 같은 강력한 보안 인증의 가치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3분 완성! 우리 회사 사이버 방어력 셀프 진단
사이버보험 언더라이팅의 핵심 6대 통제 항목입니다. 현재 준비된 항목을 클릭하여 방어력 준비도를 확인해 보세요.
MFA 전사 적용
관리 콘솔, 이메일 등 모든 중요 접근에 다중요소인증(MFA)을 적용하고 있나요?
EDR & 이메일 보안
엔드포인트 위협 탐지 및 대응(EDR) 솔루션과 이메일 보안 시스템을 운영 중인가요?
오프라인 격리 백업
랜섬웨어 공격에 대비해 중요 데이터를 물리적/논리적으로 격리하여 백업하고 있나요?
12개월 이상 로그 보존
사고 분석을 위해 주요 시스템의 접속 및 활동 로그를 1년 이상 보존하고 있나요?
체계적인 권한 관리
역할 기반 접근통제(RBAC)를 적용하고, 특권 계정 접근을 정기적으로 검토하나요?
공급망(LLM/API) 위험 관리
외부 서비스(LLM, API 등) 도입 시 데이터 처리 계약(DPA) 및 보안 요건을 검토하나요?
사이버보험 요율 방어 준비도
아래 항목을 선택해 준비도를 확인하세요!
FAQ
Q1. 매출 80억·DAU 70만입니다. 의무인가요?
A. 위 기준만 보면 의무는 아닙니다. 다만 조달·대기업 납품이 목표라면 ISMS-P 임의취득으로 바이어 설문·요율을 동시에 유리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60초 액션: 보안설문에서 PII 문항 비중을 체크.
Q2. ISMS만으로 충분할까요? P까지 가야 하나요?
A. PII 처리·보관·전송이 의미 있게 존재하고 조달·금융권 고객 비중이 높다면 ISMS-P 권장입니다. 60초 액션: 개인정보 흐름 다이어그램 최신화.
Q3. 요율이 들쭉날쭉합니다. 어디서부터 손볼까요?
A. MFA→EDR→백업→로그→권한→벤더 순으로 증빙을 쌓으세요. 각 항목은 정책·화면·티켓 3점 세트로. 60초 액션: 오늘자 MFA 커버리지 스냅샷 저장.
Q4. AI 기본법이 비(非)고영향 서비스에도 영향이 있나요?
A. 학습 누적 연산량 등 기준에 따라 위험관리·보고 체계가 요구될 수 있어 2025년부터 증빙 설계를 권장합니다. 60초 액션: 연산량 필드 정의.
Q5. 서울과 경기 중 어디가 보험·인증에 더 유리한가요?
A. 의무·요율은 지역 무관이고, 차이는 지원수단입니다. KISA 공통 보조 + 서울TP/경기TP 프로그램으로 리드타임·TCO를 줄이세요. 60초 액션: 공고 캘린더 구독.
Q6. 준비 기간은 어느 정도로 잡아야 하나요?
A. 조직 성숙도·증빙 상태에 따라 다르지만 12~24주가 흔합니다. 컨설팅·SECaaS 보조로 단축 가능합니다. 60초 액션: 다음 분기 OKR에 인증·보험을 동시 기입.
결론 — 요율은 ‘말’이 아니라 ‘증빙’에 반응한다
핵심은 간단합니다. 의무 판별은 1분이면 충분합니다—그래야 다음 일정을 바로 역산할 수 있습니다. 프레임(ISMS-P)을 고정하면 문서 언어와 흐름이 정렬되고, 이후 요율·담보는 결국 “눈으로 확인 가능한 증빙”의 밀도에 반응합니다.
서울·경기는 의무·요율에 차이가 없고, 다른 점은 지원수단입니다. 이 지원을 조달·브로커 파일럿과 잇는 순간 TCO·리드타임이 줄어듭니다. 복잡한 설명보다 로그 1건·티켓 1개·정책 링크 1줄이 더 설득력 있습니다. 다만 내부 통제가 느슨하면 지원만으로는 한계가 있습니다.
3줄 요약
- 8/31 역산 — 전년도 매출·DAU·특수군 중 1개라도 Yes면 의무.
- ISMS-P — 보안+개인정보를 한 언어로 설명해 조달·언더라이팅에 유리.
- 증빙 3점 세트 — 정책·화면·티켓이 요율을 움직이는 최단 경로.
의사결정 매트릭스(15초)
- PII 흐름 高 + 엔터프라이즈 세일즈 → ISMS-P로 고정.
- 파일럿 고객·비민감 → 소범위로 시작, 증빙 설계는 동일.
- 요율 목표 → MFA→EDR→백업→로그→권한→벤더 순으로 감액 포인트 적층.
현장에서 잦은 오해는 “문서를 많이 쓰면 끝난다”입니다. 실제로는 운영의 흔적—경보가 티켓으로 이어지고, 분기 권한 리뷰가 남는 기록—이 요율과 담보의 언어입니다. 말보다 화면이 빠릅니다. 그래서 증빙은 분산 생성하고, 제시는 한 화면으로 묶습니다.
팀마다 속도는 조금 다르겠지만, 지금 당장 할 일은 뚜렷합니다. 의무 스위치 캡처로 기준선을 고정하고, ISMS-P 프레임을 OKR에 올리세요. 이어서 로그 쿼리 1건+티켓ID를 폴더로 묶고, RFI 1장을 브로커에 보내면 다음 통화는 논쟁이 아니라 조건표 비교가 됩니다.
90초 액션 체크아웃
- 의무 판별 스위치 결과 캡처 → 팀 채널 상단 고정.
- 루트에
01_Security/·02_Privacy/생성 → 최근 Q&A 1건을 양 트랙 증빙으로 저장. - EDR 최근 경보 1건을 티켓ID와 엮어
00-Evidence/에 보관. - 브로커 RFI 1장 발송(한도·자기부담·특약 우선순위 포함).
이 글의 목적은 전부를 한 번에가 아닙니다. 지금 가능한 것부터 한 장씩 쌓아 요율·신뢰·리드타임을 동시에 낮추는 것입니다. 한 줄의 쿼리와 한 장의 파일이 팀을 앞으로 밀어 줍니다. 그 한 장을 오늘 만드세요.
- 매출 100억
- DAU 100만
- ISP/IDC·특수군
- ISMS-P 권장(PII·조달)
- 로드맵·예산에 고정
- 정책 PDF
- 콘솔 캡처
- 티켓ID
- 요율·담보 개선
- 바이어 설문 패스
- 조달 리드타임↓
15분 파일럿:
- 4문항 스위치로 의무 판별 → 스크린샷
- 프레임 ISMS-P 확정 → OKR 반영
- 로그 쿼리 1건 PDF + 티켓ID + 정책 링크(사내)로 폴더 1개
- 브로커 RFI 1장 발송(한도·자기부담·특약 우선순위 포함)
글쓴이
다로미 — 보안·규정·보험 분야 실무형 작가. 생성형 AI SaaS의 ISMS-P·사이버보험 설계를 돕는 실행 중심 가이드를 씁니다. 마지막 검토: 2025-10.
※ 본 글은 법률·보험 자문이 아닙니다. 실제 의사결정은 담당 변호사·공식 심사기관·보험 브로커와 상의하세요.
근거 메모: ISMS/ISMS-P 의무 기준·마감(전국 동일, 다음 해 8/31) (KISA, 2025-10) · AI 기본법(공포 2025-01-21, 시행 2026-01-22) (law.go.kr, 2025-01) · 국내 사이버보험 보수화 및 통제 항목 중요성 (KIRI, 2025-05)
사이버보험 요율표, ISMS-P, 생성형 AI SaaS, 서울 경기 지원, AI 기본법
🔗 로컬 vs 클라우드 LLM 비용 계산법 Posted 2025-10-09 10:55 UTC 🔗 NotebookLM 오디오 오버뷰 Posted 2025-10-03 07:39 UTC 🔗 인공지능 개념 지도 Posted 2025-09-28 07:11 UTC 🔗 AI 카페 랜딩페이지 Posted (날짜 미상)